삶과 복음 사이 – 예(禮) – 나병환자 열 사람

김홍한

예(禮) 나병환자 열 사람

– 루카 17,11-19 –

일어나 가거라. 네 믿음이 너를 살렸다하고 말씀하셨다.

갈릴리에서도 쫓겨나고 사마리아에도 들어가지 못하는 나병환자들, 그들이 사마리아와 갈릴리의 접경지역에 무리지어 살고 있습니다. 그들 중에는 유대인도, 사마리아인도, 갈릴리인도 있었겠지요. 혈통에 관계없이, 종교에 관계없이, 사는 곳에 관계없이 그들은 나병환자라는 이유로 가장 비참한 천민으로 살고 있었습니다. 그들이 예수님의 일행을 만났습니다. 그러나 감히 가까이 오지 못하고 멀리서 소리칩니다. “예수 선생님! 저희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십시오!” 그러자 예수님께서는 말씀 하십니다. “가서 사제들에게 너희의 몸을 보여라”

나병을 진단하는 이는 의사가 아니라 사제가 합니다. 나병은 단순질병이 아니라 하나님의 저주를 받은 종교적 징벌로 보기 때문입니다. “가서 사제들에게 너희의 몸을 보여라” 하심은 이미 너희의 나병이 나았으니 병이 치유된 것을 확인 받으라는 말씀입니다. 그러나 아직 병이 그대로인데 병든 몸으로 마을 한 가운데 사는 사제들에게 가라는 것은 돌에 맞아 죽으라는 말씀과도 같습니다. 한 두 명이라면 은밀히 들어갈 수도 있겠지만 열 명의 나병환자가 떼를 지어 마을로 들어간다면 틀림없이 발각될 것이고 그것은 곧 죽음을 의미합니다. 예수님께서 나병환자들에게 내리신 말씀은 참 가혹합니다. 병을 치유해 줄 것이라는 예수님의 말씀을 믿는다면 목숨을 걸라는 말입니다.

다행히 그들에게는 믿음이 있었습니다. 예수님의 말씀을 믿고 사제에게로 향했습니다. 어쩌면 믿음이라기보다는 도박일지도 모릅니다. 병으로 죽든 돌에 맞아 죽든 죽는 것은 마찬가지니 한번 해 보자는 계산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게 웬일입니까? 그들이 죽기를 한하고 사제에게로 가는 도중 병이 깨끗해 졌습니다. 너무 기쁜 그들은 어디로 가야 할까요? 사제에게 가서 확인 받을 수도 있습니다. 그것을 잠시 미루고 사랑하는 가족들에게 달려 갈 수도 있습니다. 그것도 미루고 예수님께 갈 수도 있습니다. 순서는 상관이 없습니다. 어쨌든 사제에게 깨끗해 졌다는 확인을 받아야 하고 종국에는 가족에게 돌아가겠지요.

10명의 나병환자가 병 고침을 받았습니다. 그 중 한사람만 돌아와서 감사했다고 했습니다. 감사의 우리말은 “고마움”입니다. 베푸신 은혜가 크니 그만하라는 뜻입니다. 그 고마움을 표현하는 것이 예(禮)입니다. 고마움을 마음에 품고만 있으면 예가 아닙니다. 아홉 명의 병 고침 받은 문둥병자들도 마음으로는 예수님께 크게 감사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들은 표현하지 않았습니다. 표현하지 않았기에 무례(無禮)한 것입니다.

감사를 표현한 사람을 칭찬할 일은 아닙니다. 그는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했을 따름입니다.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하는 것, 그것만으로도 사람은 사람다울 수 있습니다.

예를 안다는 것은 표현하는 것입니다. 표현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마음으로, 표정으로, 선물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말로 표현하는 것이 제일일 것입니다. 방법이야 어떠하든 표현되어야 합니다. 사례한 한 사람이 사마리아 사람이라고 하였습니다. -성경은 의도적으로 그가 사마리아 사람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예를 모르는 천민과 같이 여겨지는 사마리아 사람이 진정 예를 행하였습니다. 예는 신분이나 혈통, 학문의 정도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문화의 차이도 관계없습니다. 종교의 차이도 관계가 없습니다. 진실한 마음으로 행할 것을 행하고 표할 것은 표하면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예라는 것은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복잡한 것도 아닙니다. 배운 것이 없는 무지하고 투박한 촌부라도 마땅히 행할 바를 행하고 감사할 것을 감사할 것을 감사한다면 그것이 예입니다.

예라는 것은 상대방에 대한 존중에서 시작합니다. 아무리 형식적인 예를 갖추어서 사람을 대한다 하더라도 그 안에 존중의 마음이 없으면 그것은 무례가 됩니다.

예는 부끄러움을 아는 것입니다. 사람으로서 잘못이 없을 수 없습니다. 그 때 부끄러워하는 것이 예입니다. 고마움을 알고 표현하는 것이 예라면 부끄러움을 알고 용서를 비는 것도 예입니다.

예는 상대방을 위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자신의 품위를 지키는 것이기도 합니다. 예를 아는 이는 아무도 무시하거나 함부로 대할 수 없습니다. 품위가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성경에는 늙은 야곱과 파라오가 만나는 장면이 기록되어 있습니다(창47장). 파라오에 비한다면 야곱은 문화도 없고 학식도 없는 늙은 천민입니다. 그러나 야곱과 파라오의 대화에서 어색함이나 불편함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비록 문화가 다르고 신분이 다르지만 서로에게 존중하는 마음이 있었고 마땅히 행할 바를 행하고 표할 것을 표했기 때문입니다.

김홍한 한국 기독교장로회 소속 목사로서 대전에서 목회하고 있으며 얼마 전, 이메일로 지인들에게 보내던 이야기신학을 100호 발행했다.

월간 <갈라진시대의 기쁜소식>2013년 10월호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